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근육의 기능과 근감소증에 대해 알아보자 근육의 기능과 근감소증이란? 근육은 우리 몸의 골격을 이루는 뼈에 부착돼 운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관입니다. 심장이나 내장에도 근육이 있지만 근육 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 골격근입니다. 팔다리는 물론이고 배와 얼굴 등에 600여 개의 골격근이 존재하는데 그 무게는 체중의 40%를 차지할 정도라고 합니다. 근육량은 보통 30대 후반부터 줄기 시작해 근력운동을 따로 하지 않을 경우 75세가 되면 절반 수준까지 줄어듭니다. 근육은 근육섬유 다발로 되어 있고 근육섬유 다발은 다시 수많은 근육섬유로 채워져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재생되는 근육보다 손실되는 양이 많아지면서 전체적인 근육량도 줄어들게 됩니다. 근감소증은 근육량이 줄면서 근력이나 근 기능이 함께 감소하는 질환으로 걷는 속도가 느려졌다면 의심해 봐.. 2024. 5. 6.
전정신경염, 소뇌위축증, 이석증, 메니에르병, 심인성 어지럼증에 대해 알아보자 어지럼증의 종류에는 전정신경염, 소뇌위축증, 이석증, 메니에르병, 심인성 어지럼증이 있습니다. 각 어지럼증의 정의와 증상, 원인, 치료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정신경염의 정의와 증상, 원인, 치료법 우리의 귓속에는 몸의 자세를 느끼도록 돕는 평형기관인 전정기관이 있습니다. 3개의 반고리관과 이석기관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전정기관으로 받은 평형감각 정보는 전정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하지만 여러 원인에 의해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기면 심한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느끼게 되고 균형을 잡기 힘들어지는데 이것이 전정신경염입니다. 전정신경염의 증상은 눈을 뜬 상태로 누워있을 때 천장이 돌면서 밑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고 토를 합니다. 전정신경염의 지속 기간은 며칠에서 몇 주, 길면 한두 달까지 어지.. 2024. 5. 5.
불면증에 대한 모든 것 불면증이란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해서 자는 도중에 자주 깨거나 꿈을 많이 꾸고 잠에서 일찍 깨어나는 수면의 양과 질이 문제가 되는 수면장애를 말합니다. 불면증의 원인 불면증의 원인은 과다 각성과 수면무호흡증이 있습니다. 과다 각성은 잠을 자야 하는 시간 동안에 뇌의 전반적인 각성 상태가 과도하게 높아진 것을 말합니다. 인지적 요인으로는 첫 번째 스트레스나 걱정, 불안 등 여러 원인이 뇌의 각성 상태를 높여서 수면에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지속될 경우 그것을 고치기 위한 행동 자체가 수면을 점차 방해하게 되면서 불면증이 만성화됩니다. 두 번째 생물학적인 요인으로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부신피질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이는 뇌줄기에서 각성을 유도하는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세포를 자.. 2024. 5. 4.
콩팥의 기능과 만성 콩팥병이란? 콩팥의 기능 우리 몸의 정수기로 불리는 콩팥은 등 쪽 좌우에 있으며 어른 주먹만 한 크기로 하루 150L 정도의 혈액을 거릅니다. 모세혈관이 실타래처럼 뭉쳐진 사구체라는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혈액이 바로 이 사구체를 통과하면서 필요한 성분은 다시 혈액으로 노폐물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콩팥은 노폐물 배설 외에도 수분과 염분을 조절하고 피를 만드는 조혈호르몬을 분비하는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흔히 만성 콩팥병은 평생 투병을 해야 하고 말기에 이르면 투석이나 이식을 받아야 하기에 암보다 더 무섭다고 합니다. 만성 콩팥병을 진단하는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만성 콩팥병을 진단하는 검사로는 혈액검사와 소변검사가 있습니다. 혈액검사는 BUN(혈중 요소 질수), 크레아티닌이라는 혈액 수치를 통해 신.. 2024. 5. 3.